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B/L
- 중국 해외생산기업
- 식품수출
- 한중FTA
- 김 수출
- ctsh
- 김스낵 OEM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김 OEM
- 원산지소명서
- certificate of origin
- 통관서류
- 수산물품질관리원
- 호주 김 수출
- 중국수출
- 품목별 인증수출자
- 중국
- 수출서류
- HSCode
- hscode 확인
- 미국 수출
- 대만수출
- 원산지증명서
- 품목제조보고서
- 식품안전나라
- FTA
- 식품 수출
- 미국수출
- 원산지결정기준
- obl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pcyI/btqCpQ1yjkW/AEdAB0XDAtkUMWx70JB78k/img.jpg)
안녕하세요. 박과장입니다. 오늘은 제조자 입장에서 수출자가 좀 더 파악하고 계셨으면 하는 내용들에 대해 적어보았습니다. 정말 많은 분들이 김스낵 수출 문의를 하십니다. 그러면서 느꼈던 개인적인 의견을 제시해 봅니다. 1. 수출하려는 국가에 대한 이해 수출을 위해 목적국가 시장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 국가에 " 김스낵 "이라는 어떻게 보면, 특수한 제품을 수출하기 전에는 그 국가의 시장에 대해서 알아 봐야합니다. 그 국가에서 김스낵이 과자 유형으로 유통 될 것인지? 아니면, 그 나라에서 " 김 " 이라는 수산물 유형으로 유통될 것인지? "김" 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잘 알려져 있는지? 유통하려면 어떤 경로를 통하여야 하는지? 주요 고객은 성인인지? 아니면 어린이? 유아? 남성? 여성?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u1xA/btqB7bTrFeO/3dJaLNVSwNcZDcfOREdrfk/img.png)
머리가 **게 아팠던 원산지 소명서에 대해서 정리해 봅시다. ( 원산지소명서 양식 첨부합니다. ) 가상으로 원산지소명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아래 내용을 전체적으로 훑어 보고, 각 부분을 짚어가면서 확인해 봅시다. 위와 같이 수출자와 생산자의 기본적인 정보를 기입합니다. 3. 품명/ 규격 : 원산지소명서 자체가 FTA 원산지증명서를 발급 받기 위한 서류 중에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품명 및 규격은 인보이스 등의 수출서류와 일치 시켜 줍니다. 4. HS No. : HS code 역시 기 신고된 수출신고필증 상의 HS code와 일치 시킵니다. 순서를 바꾸어 원산지결정기준 부터 설명합니다. ( 6번->7번->5번) 6. 원산지결정기준 : FTA 협정에 따라 결정기준을 선택합니다. 예시 ) 한-중 FTA 에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IbtZ/btqCd123j8H/K4CeAXws2dGaiILA8CXfz1/img.png)
계속해서 부가가치기준 및 결합기준, 특정공정 기준에 대해 알아봅시다.*** 세번변경기준에 대해서는 1부에서 다뤘습니다. 1부 보기 : http://marochip.tistory.com/27 다. 부가가치기준BD (Build Down) 공제법예시를 확인하면서 " 공제법 "에 대해 알아봅시다. *** 위 사진 협정별 원산지결정기준 찾는 법은 http://marochip.tistory.com/31 FTA 포털 - 협정별 원산지 결정 기준 찾는 방법 및 활용FTA 포털에서 협정별 원산지 결정 기준 찾는 방법 1. 바로 링크를 통해서 FTA 포털 - 협정별 원산지기준 링크를 통해서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 확인 가능합니다. http://www.customs.go.kr/ftaportalkor/ad/..mar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2X8E/btqCd0h60gg/k4G7AuFPygghaQicbwb761/img.png)
FTA 포털에서 협정별 원산지 결정 기준 찾는 방법 1. 바로 링크를 통해서 FTA 포털 - 협정별 원산지기준 링크를 통해서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 확인 가능합니다. http://www.customs.go.kr/ftaportalkor/ad/ftaTrtyPsr/psr.do?mi=3528# FTA 포털 HS 기준 안내 (FTA 협정문 기준) HS기준안내 - 칠레 싱가 포르 ASEAN 인도 EU 페루 미국 터키 호주 캐나다 중국 뉴질 랜드 베트남 콜롬 비아 베트남 싱가 포르 필리핀 말레 이시아 인도 네시아 태국 미얀마 캄보 디아 라오스 브루 나이 수출시 세율 2007 2012 2012 2012 2012 2012 2012 2012 2012 2012 2007 2012 2012 2007 2007 2012 2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aqTT/btqB8aUcZYb/Yik0lGkpzRk92R60cQ4xh0/img.png)
오늘은 포스팅을 해서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알려드려야겠네요. 한국 확진자가 총 156명으로 늘어났네요. ㅠ,.ㅠ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난리입니다. ㅠ.ㅜ 많은 분들에게 보여드렸던 사이트가 있는데요. 중국 전지역 및 세계 각국의 확진자 사항을 공개하는 사이트입니다. 전 세계 상황이 어떻게 되는지 중국은 어떻게 되는지 알려줍니다. 중국 내 집계에 대해서는 신뢰감이 떨어지지만, 각국의 상황은 되도록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것 같습니다. https://voice.baidu.com/act/newpneumonia/newpneumonia 实时更新:新型冠状病毒肺炎疫情地图 voice.baidu.com 중국어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아래 자세하게 설명드립니다. 위 사이트를 새창으로 띄우시고 어떻게 구성해 놨는지 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T8Zi/btqB6Jo5akm/bSGLkkYBhhdK1usv53WgK0/img.png)
안녕하세요. 명품김입니다. 오늘은 중국에서 해외 수출 시 증치세(부가세) 환급제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와 비교하면서 확인해보면 더욱 이해가 쉽습니다. 한국을 설명하고, 중국을 설명하면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우선 한국에서 해외 수출 시 부가세 제도를 확인해 볼까요? 매입이 1,000원(별도) , 매출이 1,200원이라고 가정해보죠. 우리가 알다시피 한국의 부가세율은 10%입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국내거래 시 매입매출에 부가세가 붙고, 실제 납부는 20원, 남는 돈 이익은 200원입니다. 수출 할 때는 영세율을 적용받아 매입 부가세를 환급 ( 100원) 받으면, 똑같이 이익은 200원입니다. 결국 같은 이야기 입니다. 이익은 동일하다는 것이죠. 다음은 중국을 알아볼까요? 중국의 부가세율(증치세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IS1q/btqCrPaXruC/L2BBWlyR3RRatSf5ke1oFk/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 Shipping Mark " 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혹시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양식첨부 합니다. 쉬핑마크 (Shipping Mark)는 물건을 쉽게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FCL 으로 나갈 때도 여러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하기도 하죠. 당사에서는 LCL 방식으로 나갈 때, 붙이곤 하는데 특히, 한 컨테이너에 많은 제품들이 혼재될 경우 정확한 갯수를 파악하기 위해 각 박스에 번호를 부여하기도 합니다. 양식에 없지만 " 란 "을 추가해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각 쉬핑마크에 번호를 삽입한다면, 정확한 갯수 및 잃어버릴 가능성이 줄겠죠. 그런데, 요즘에는 번호 부여를 잘 하지는 않습니다. 귀찮기도 할테고, 없어도 큰 문제가 없기 때문 아닌가 싶습니다. 결론적으로 Ship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zdFD/btqCBwW6Qew/4sdDiecLDcQQyA94AK90ok/img.png)
안녕하세요. 김스낵 박과장입니다. 오늘은 원산지 확인서 작성방법 및 관련내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원산지(포괄)확인서는 기본적으로 수출을 목적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필요한 서류입니다. 원료나 부품을 생산하는 공급자가 자신의 제품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여 완제품 생산자에게 전달하는 하고, 완제품 생산자는 다시 자신의 다시 완제품 원산지(포괄)확인서를 수출자에게 전달하고, 수출자는 최종적으로 원산지 소명서를 작성하여, 세관 혹은 상공회의소에 제출하여 원산지증명서를 발급 받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동일한 생산자 또는 수출자에게 장기간 계속·반복적으로 공급하는 재료 또는 최종물품 생산자 등은 원산지확인서 작성일부터 12개월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원산지 (포괄) 확인서 1번 제출로 반복하여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