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호주 김 수출
- obl
- 중국수출
- 원산지소명서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식품수출
- 한중FTA
- hscode 확인
- 원산지증명서
- 중국
- 대만수출
- 미국 수출
- 김 수출
- 미국수출
- certificate of origin
- 원산지결정기준
- 통관서류
- ctsh
- 식품 수출
- 수출서류
- HSCode
- 식품안전나라
- B/L
- 수산물품질관리원
- 김 OEM
- 김스낵 OEM
- FTA
- 품목제조보고서
- 중국 해외생산기업
- 품목별 인증수출자
목록중국관련 (8)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22년 3월 31일자로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서 공문을 받았습니다. http://www.singlewindow.cn 중국국제무역단일창구 中国国际贸易单一窗口 www.singlewindow.cn 다시 이야기 하자면, 위 사이트에 중국으로 수출하는 제조업체는 관련정보를 등록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점점 더 수출하기 어렵게 만드네요. 중국은 우리한테 수출하면서 이런 정보등록 하지 않을 텐데요. 후~ "붙임"에 보면 중국 기존시설 세부 기입방법 1부 ** PPT 붙임 중국 기존시설 세부 기입방법 1부를 다운 받으시려면 위 ↑를 클릭 해주세요. 요렇게 PPT 설명을 보내주셨습니다. 그럼 PPT 및 저희 회사의 사례를 보면서 어떻게 입력 해야하는지 알아봅시다. http://www.singlewindow.cn 사이트에 접속..

앞서 아래와 같이 설명 드린 내용에서 좀 더 발전해서 내용이 상세 해졌습니다. https://marochip.tistory.com/88 2022년 부터 중국 "모든" 수입식품 해외생산기업 등록 관리? 안녕하세요. 김스낵 박과장입니다. 몇일 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아래와 같은 공문이 전달되었습니다. 앞으로 모든 수입제품을 생산하는 해외기업은 중국 해관에 등록이 되어야 한다는 겁 marochip.tistory.com 중국 현지 중국해관의 정보와 중국 포워딩 사 및 바이어들로부터 얻은 정보를 정리해봅니다. 1. 중국에 수출하는 제조사가 중국해관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1) 아래 중국국제무역단일창구(中国国际贸易单一窗口)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https://www.singlewindow.cn/ 中国国际..

안녕하세요. 김스낵 박과장입니다. 몇일 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아래와 같은 공문이 전달되었습니다. 앞으로 모든 수입제품을 생산하는 해외기업은 중국 해관에 등록이 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준비하고자 수출관련 현황자료를 회신해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자료 회신이야 어렵지 않게 전달드렸고, 중요한 것은 모든 제품의 해외생산업체를 등록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아시겠지만, 시행은 22년 1월 1일부터입니다. 이미 수산물의 경우, 중국에 수출하는 기업은 해관에 모두 등록되어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을 통하여 관리되며, 등록되어 있죠. 이 같은 행위를 모든 수입식품을 대상으로 진행하겠다는 이야기 일 듯 싶습니다. 어쨋거나 정확한 관련자료를 찾아봐야겠다 싶어서 이곳 저곳 뒤져봤습니다. ..

2021년 1월 1일부로 중국은 한중FTA 협정에 맞게 수입관세를 인하하였다. 참고로 아래는 "중국자유무역서비스망" 国际自由贸易区服务网 http://fta.mofcom.gov.cn/ 위 서비스 이용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 하면, 아래와 같다. 2021년 중국 조미김의 한중FTA 관세율 : 9.75% 가 적용된다. 2021년 중국 마른김의 한중FTA 관세율 : 4.5% 가 적용된다. 추가적인 궁금한 사항은 아래 댓글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포스팅을 해서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알려드려야겠네요. 한국 확진자가 총 156명으로 늘어났네요. ㅠ,.ㅠ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난리입니다. ㅠ.ㅜ 많은 분들에게 보여드렸던 사이트가 있는데요. 중국 전지역 및 세계 각국의 확진자 사항을 공개하는 사이트입니다. 전 세계 상황이 어떻게 되는지 중국은 어떻게 되는지 알려줍니다. 중국 내 집계에 대해서는 신뢰감이 떨어지지만, 각국의 상황은 되도록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것 같습니다. https://voice.baidu.com/act/newpneumonia/newpneumonia 实时更新:新型冠状病毒肺炎疫情地图 voice.baidu.com 중국어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아래 자세하게 설명드립니다. 위 사이트를 새창으로 띄우시고 어떻게 구성해 놨는지 확..

안녕하세요. 명품김입니다. 오늘은 중국에서 해외 수출 시 증치세(부가세) 환급제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와 비교하면서 확인해보면 더욱 이해가 쉽습니다. 한국을 설명하고, 중국을 설명하면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우선 한국에서 해외 수출 시 부가세 제도를 확인해 볼까요? 매입이 1,000원(별도) , 매출이 1,200원이라고 가정해보죠. 우리가 알다시피 한국의 부가세율은 10%입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국내거래 시 매입매출에 부가세가 붙고, 실제 납부는 20원, 남는 돈 이익은 200원입니다. 수출 할 때는 영세율을 적용받아 매입 부가세를 환급 ( 100원) 받으면, 똑같이 이익은 200원입니다. 결국 같은 이야기 입니다. 이익은 동일하다는 것이죠. 다음은 중국을 알아볼까요? 중국의 부가세율(증치세율)..

안녕하세요. 명품김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부가세(증치세增值税)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선 이해하기 쉽게 한국과 비교해봅시다. 한국은 3단계 세율입니다. 10% 부가세, 영세율, 면세율 3가지죠. 거의 모든 물품을 국내 거래시 10% 부가세가 붙죠. 영세율은 국외로 수출 시 적용되는 세율입니다. 면세율 적용품목은 기초생활 필수품 및 국민후생및 문화관련 재화·용역등이 있습니다. 중국도 기본적으로 3단계 세율을 책정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달리 영세율, 면세율 적용 품목은 없습니다. 2020년 2월 현재 13% , 9%, 6% 으로 3단계 세율로 적용하고 있죠. 2018년 5월전까지는 17%, 13%, 6% 로 적용되는 세율이 2018년 5월이후는 16%, 10%, 6%로 조정 되었고, 2019년 3월 5일 13..

안녕하세요. 명품김입니다. 오늘은 중국에 조미김, 마른김을 수출할 때의 HS.CODE 및 관세율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우선 조미김과 마른김이 각각 무엇인지 확인해 봅시다. 위 사진과 같이 우리가 알고 있듯이 밥 싸먹는 김을 조미김이라고 하며, 김스낵 또한 조미김 유형안에 들어갑니다. 위와 같은 제품으로 조금 더 길쭉한 것이 재래김(일반 조미김용), 짧은 것이 김밥용김(스시김)이라고 합니다. (마로칩 김스낵을 만들 때는 김밥용김을 사용합니다. ^^)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조미김은 "조미"를 한 제품이고, 마른김은 발장에 말리기만 한 생김입니다. 마른김을 구우면 구운김이 되는 것이죠. 그럼, 조미김 HS.CODE에 대해 알아봅시다. 중국에서는 기본적으로 EU 및 영국의 룰에 따라 "식물의 기타 제조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