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한중FTA
- 대만수출
- 식품 수출
- ctsh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미국 수출
- 식품수출
- hscode 확인
- 미국수출
- 통관서류
- 중국
- 수산물품질관리원
- 김 OEM
- 호주 김 수출
- 식품안전나라
- FTA
- 김 수출
- HSCode
- 품목제조보고서
- 품목별 인증수출자
- 중국 해외생산기업
- certificate of origin
- 중국수출
- obl
- 원산지증명서
- 수출서류
- 원산지결정기준
- 원산지소명서
- B/L
- 김스낵 OEM
목록HSCode (4)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기본적으로 HSCODE는 동일해야합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HSCODE 6자리까지 말이죠. 무슨 말이냐 하면, 예를 들어 우리가 생산하는 조미김의 HSCODE는 2008.99-5010입니다. 뒤의 5010을 제외(5010은 한국고유번호)하고 2008.99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번호입니다. 미국에서, 중국에서, 일본에서 등등... 그렇기 때문에 수출신고필증에서의 HSCODE란에 조미김은 2008.99-5010 이라고 작성합니다. 또한, 이를 근거로 발급하는 원산지증명서도 역시 2008.99 (국제통용 HSCODE 6자리까지)를 기입합니다. 우선 국내에서는 김스낵과 조미김이 같은 HSCODE를 공유하지만, 해외에서는 다르게 판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종종 수출신고필증과 원산지증명서 HSCOD..

안녕하세요. 김스낵 박과장입니다. 가끔은 제품들의 HS code가 확실치 않아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관세가 어떻게 되는지, 통관은 가능한지? 기존 제품들은 품목분류를 어떻게 했는지 자료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관세법령정보포털에 접속합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unipass.customs.go.kr 2. " 세계HS "에 클릭하지 말고, 마우스만 가져다 댑니다. 3. " 품목분류 국내사례 " 를 클릭합니다. 4. 조회창에서 여러가지 조합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5. "조회" 를 클릭하면, 아래와 검색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유용한 정보들 품목분류 사전심사 신청방법(양식 작..

오늘은 가장 간단하게 HS code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사실 HScode 관련해서 관세사님들께 여쭤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대략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일반인들도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1. 관세법령정보포털 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unipass.customs.go.kr 아래는 관세법령정보포털 화면입니다. 두 글자이상 검색어로 입력해야 조회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김" 이라고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표시가 나오죠. 또 아쉬운 점은 " 조미김 " , " 김밥김 "등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단어로도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는 영문으로 검색하시길 바랍니다. " Laver " ..

안녕하세요. 명품김입니다. 오늘은 중국에 조미김, 마른김을 수출할 때의 HS.CODE 및 관세율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우선 조미김과 마른김이 각각 무엇인지 확인해 봅시다. 위 사진과 같이 우리가 알고 있듯이 밥 싸먹는 김을 조미김이라고 하며, 김스낵 또한 조미김 유형안에 들어갑니다. 위와 같은 제품으로 조금 더 길쭉한 것이 재래김(일반 조미김용), 짧은 것이 김밥용김(스시김)이라고 합니다. (마로칩 김스낵을 만들 때는 김밥용김을 사용합니다. ^^)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조미김은 "조미"를 한 제품이고, 마른김은 발장에 말리기만 한 생김입니다. 마른김을 구우면 구운김이 되는 것이죠. 그럼, 조미김 HS.CODE에 대해 알아봅시다. 중국에서는 기본적으로 EU 및 영국의 룰에 따라 "식물의 기타 제조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