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식품수출
- certificate of origin
- 원산지소명서
- 대만수출
- 품목별 인증수출자
- 품목제조보고서
- 김스낵 OEM
- 수출서류
- HSCode
- 수산물품질관리원
- hscode 확인
- 통관서류
- B/L
- ctsh
- 중국
- 김 OEM
- 미국 수출
- 식품 수출
- FTA
- 김 수출
- 호주 김 수출
- obl
- 원산지증명서
- 중국 해외생산기업
- 미국수출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한중FTA
- 원산지결정기준
- 식품안전나라
- 중국수출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0kIr/btroJ1VbWZX/OBMNY4eyZvZKkg0sS8DHuK/img.png)
2021년 11월 기준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유통/물류 제약, 소비 위축 등 수출 장애요인의 지속에도 불고 하고 전년(20.7억 달러) 대비 21.9% 증가한 25.3억 달러로 수출 호조세를 나타냈다. 이는 역대 최고 수출을 기록한 2019년의 연간 실적(25.1억 달러)을 초과 달성한 것이다. 2021년 수산물 수출은 1분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하며 순조로운 흐름을 보였고 2,3분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0%, 27.3% 증가하는 등 높은 실적을 유지하며 수출 증가세를 이어나갔다. 이러한 수출 증가세는 가공품 수출증가(10억 9천만 달러, 전년대비 15.1% 증가)와 수출국 다변화, 단계적 일상 회복 정책 시행 확대에 따른 주요 품목의 수입수요 증가등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jR3q/btriaUCADre/jcby2zXNBKygkGZdJ3haCk/img.png)
이게 머야?? 배값(해상운송비)도 천정부지로 솟고 있는 요즘 뜬금없이 Ocean Freight 아래 USD 가격으로 "떡" 하니 붙어 있는것이 생겼다. 지금까지 FOB로 수출하다가, 바이어가 추천한(지정한) 포워딩사에서 CFR로 진행하는데, OCEAN FREIGHT 말고도, 저 LOW SULPHUR FUEL SURCHARGE를 내라는 것이다. 이게 뭔가? 모르는 것이 있으면 찾아봐야지 해서, 구글링을 해봤다. 유류할증료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에 따라 황 함유량이 적은 비싼 연료를 사용하면서 이에 대한 선사들의 비용을 보전하기 위해 할증하는 요금을 말한다. IMO는 지난해 1월부터 황 함유량 규제인 'IMO 2020'을 시행했고 국제 항해 선박은 황 함유량을 종전 3.5%에서 0.5%로 낮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0JrI/btq8lDEjPZd/ACsnEYOnYKy7MosXAzuQv0/img.png)
안녕하세요. 김스낵 박과장입니다. 몇일 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아래와 같은 공문이 전달되었습니다. 앞으로 모든 수입제품을 생산하는 해외기업은 중국 해관에 등록이 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준비하고자 수출관련 현황자료를 회신해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자료 회신이야 어렵지 않게 전달드렸고, 중요한 것은 모든 제품의 해외생산업체를 등록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아시겠지만, 시행은 22년 1월 1일부터입니다. 이미 수산물의 경우, 중국에 수출하는 기업은 해관에 모두 등록되어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을 통하여 관리되며, 등록되어 있죠. 이 같은 행위를 모든 수입식품을 대상으로 진행하겠다는 이야기 일 듯 싶습니다. 어쨋거나 정확한 관련자료를 찾아봐야겠다 싶어서 이곳 저곳 뒤져봤습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EGzc/btq7PM7MtBY/iedgVxC0uzwS0deXMrK6d0/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BOM List 소요자재 명세서 작성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매번 작성하려고 할 때마다 어떠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서 나름 이것저것 찾아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아래 양식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1. BOM List 의 작성주체 - BOM List는 제조자(생산자)가 작성하여, 수출자에게 전달하는 서류입니다. 2. 세번변경기준과 부가가치기준 - FTA협정 대부분 세번변경기준 또는 부가가치기준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정보가 모두 BOM안에 들어있기 때문에 FTA 원산지 증명서 발급 시 꼭 필요한 서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① 만약 FTA협정이 세번변경기준 (CTH,CC등)을 따르고 있다면, 사실 ② 내용은 필요가 없습니다. 원산지는 모두 미상으로 두고 소요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yieV/btq7sUG88xu/BBFklBS5Xl5mz10PMz3Dfk/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과대포장(포장공간비율) 검사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육안으로 보기에 내용물을 제외한 빈 공간이 상당한데도 고정재 사용 시 가산 공간을 부여하는 환경부 기준을 적용하면 포장공간비율은 25%를 넘기 힘들다. 포장공간비율 25%는 과대포장 단속 기준이다. 출처: 빈 공간이 반인데 과대포장 아니라고? 고정재의 함정 (한국일보) 과대포장 검사는 이름도 긴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에서 진행합니다. 1. 자세한 대상품목 확인은 아래 링크를 클릭! 가공식품, 음료, 주류, 제과류, 건강기능식품, 세정용 제품류, 화장품류, 세제류, 완구인형류, 문구류,신변잡화류,의약외품류, 의류(와이셔츠,내의류)등이 있네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과대포장 - 대상품목 대상품목 | 한국건설생활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pml06/btq7nQY8KQk/fB67yv0bPp88XwCqOz1Mv0/img.png)
안녕하세요. 김스낵 박과장입니다. 가끔은 제품들의 HS code가 확실치 않아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관세가 어떻게 되는지, 통관은 가능한지? 기존 제품들은 품목분류를 어떻게 했는지 자료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관세법령정보포털에 접속합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unipass.customs.go.kr 2. " 세계HS "에 클릭하지 말고, 마우스만 가져다 댑니다. 3. " 품목분류 국내사례 " 를 클릭합니다. 4. 조회창에서 여러가지 조합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5. "조회" 를 클릭하면, 아래와 검색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유용한 정보들 품목분류 사전심사 신청방법(양식 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wYVj/btq7iOGXavi/GuN3vKmsPDWGFwmbwXNrYk/img.png)
안녕하세요. 박과장입니다. 오늘은 1부에 이어서 품목분류 사전심사 인터넷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부 참고하실 분은 아래 "품목분류 사전심사 신청방법(양식 작성방법/양식 첨부)(1)" 클릭하셔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품목분류 사전심사 신청방법(양식 작성방법/양식 첨부)(1) 안녕하세요. 박과장입니다. 오늘은 품목분류 사전심사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우리가 수출제품 혹은 수입제품을 통관 시키려다 보면, 제품 HS code가 정확하게 맞는지 알아봐야 하는 경 marochip.tistory.com TIP : 각 지역의 FTA센터 활용하기 신청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각 지역에는 FTA센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희지역에는 충남FTA센터가 있죠. 각 지역의 FTA 센터에서는 무료로 품목분류 사전심사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5U4f/btq7iu8YVgs/TGxYZt5YKK02TXr2XmfELK/img.png)
안녕하세요. 박과장입니다. 오늘은 품목분류 사전심사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우리가 수출제품 혹은 수입제품을 통관 시키려다 보면, 제품 HS code가 정확하게 맞는지 알아봐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품목분류 사전심사 제도 수출입신고를 하기 전에 수출입자가 스스로 품목을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법령에서 정한 바에 따라 관세청 관세평가분류원장에게 신청하면 법적인 효력이 있는 품목번호를 결정하여 회신하도록 한 민원회신 제도입니다. (관세법 제86조 및 관세법시행령 제106조) 출처 : 관세평가분류원 당사에서도 김스낵은 조미김과 HS code가 동일한지에 대한 품목분류 사전심사를 진행했었습니다. 관련해서 아래와 같이 품목분류 사전심사를 통해 명확한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TIP : 각 지역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