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국 수출
- 김 수출
- HSCode
- ctsh
- 식품안전나라
- certificate of origin
- 중국 해외생산기업
- 수산물품질관리원
- 대만수출
- 통관서류
- 품목제조보고서
- 한중FTA
- 호주 김 수출
- 중국
- 수출서류
- 원산지결정기준
- obl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원산지증명서
- 품목별 인증수출자
- 원산지소명서
- B/L
- 미국수출
- hscode 확인
- 식품수출
- FTA
- 김스낵 OEM
- 김 OEM
- 식품 수출
- 중국수출
목록수출관련 (71)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안녕하세요. 최근 동남아시아쪽으로 한류붐이 일면서, 한국의 식품들도 인기를 더욱 얻게 되었습니다. 말레이시아도 그들 중 한국가인데요. 오늘은 말레이시아에 김제품을 수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말레이시아 수출 시 필수 키워드 : 무기비소 말레이시아에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김 제품을 수입할 때마다 컨테이너 베이스로 무기비소 최대잔류허용 기준 1mg/kg 이하임을 증명하는 증명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바이어에 따라서는 검역증명서만으로 통과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무기비소 성적서를 별도로 요구합니다. 무기비소 및 중금속 검사를 매번 수출 나갈 때마다 해야합니다. 극단적으로 1봉을 수출하더라도, 매번 그 1봉에 대한 성적서가 필요합니다. 그럼 이러한 검사는 무료로 어디서..

안녕하세요. 최근 우리나라의 김 제품들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항상 좋은 건만 있는 것은 아니죠. 오늘은 EU 시장에 "김 제품"을 수출할 때, 통관거부 사항인 " 요오드" 관련 문제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EU 수출 시, 은연중에 많은 비관세 장벽에 부딪칩니다. 특히 유럽(EU)에 6000유로 이상 물품을 수출하는 경우 인증수출자에 한하여 원산지 증명서를 발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실제 수출 업무 진행 시 필수적으로 획득해야 하는 합니다. 또한, 인증 혹은 서류구비 비관세 장벽이외에도, 식생활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규정 때문에 통관거부까지 당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1. EU에서 기준을 명확히 하는 "요오드" 많이 먹어도 괜찮은 건가? 한국인들은 미역국에서 조미김까지, "요..

인증수출자 인증서의 만료시점이 오면, 연장 신청을 해야합니다. 이에 대해 알아봅시다. ※ 필요서류 소요부품 명세서(BOM) 원산지 소명서 원산지 증명서 서명카드 제조공정도 인증수출자 연장 신청서 원산지 인증수출자의 서명확인서 원산지(포괄)확인서 원산지증명서 작성대장 원산지 관리전담자 확인서 교육이수증명서 위 서류가 모두 준비 된 후 아래설명 순서에 따라 진행하면 됩니다. 연장신청은 관세청 unipass 유니패스 사이트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unipass.customs.go.kr/ 국가관세종합정보망 서비스 환율정보 국가별 수출, 수입 환율정보 테이블 unipass.customs.go.kr 로그인 후 전자신고 클릭! FTA 클릭! 품목별 인증수출자 연장 신청서 클릭! *표시 항목은 필수입력 신청번호, 채번..

안녕하세요. 한류 덕분에 "김제품"의 대만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기분 좋은 일 입니다. 오늘은 대만에 "김제품" 수출 시 알아두면 좋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대만 내 수입식품의 검역 대상 분류기준 HS CODE 마른김과 조미김의 HScode는 다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마른김은 1212.21 / 조미김은 2008.99 6단위까지 공용으로 사용됩니다. 그 뒤 번호는 각 국가마다 달라집니다. 대만 1212.21.21208 마른김 2008.99.50009 조미김 한국에서 수출 시 수출필증에 적용되는 Hscode는 아래과 같습니다. 1212.21-1010 마른김 2008.99-5010 조미김 대만 수입 관세는 높은 편입니다. 마른김은 10% , 조미김은 25%입니다. 대만은 김스낵 제조 대국입니..

안녕하세요. 오늘은 호주로 김 제품을 수출 할 때 제품에 대해 먼저 준비하는 내용에 대해 알아봅시다. 호주 라벨링 상세 표기사항 제품의 전후면 표기사항에 대해 빠지지 않게 준비하려면 아래표를 보면서 하나씩 체크해 나가는 것이 유용합니다. 특히, 호주는 1. 알레르기 정보, 2. 영양 및 건강정보(예:유기농, 비건, GMO등등) , 3.섭취 및 저장방법을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호주 김스낵 라벨링 예시 호주 김스낵 라벨링 예시 INGREDIENTS : Laver(Korea), Brown rice, Sorghum, Black rice, Oligosaccharide, Purified water, Brown sugar, Honey butter seasoning(Milk), Wasabi seas..

안녕하세요. 오늘은 컨테이너에 딱 맞는 박스 사이즈 그리고 CBM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컨테이너에 물건을 적재하다보면 박스사이즈가 조금 더 크거나 작기를 바랄 때가 한 두번이 아니죠. 컨테이너에 딱 맞는 박스사이즈를 원하게 됩니다. 당사에서는 김을 제조하다보니, 무게는 적게 나가지만, 부피는 커서 예전부터 컨테이너에 딱 맞는 사이즈의 박스를 찾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들께 몇가지 박스 사이즈를 알려드립니다. 그전에 아주 기본정보인 "CBM"에 대해 알아봅시다. 영어로 "큐빅미터" ,아래와 같이 기본 단위는 m(미터)입니다. CBM ( CuBic Meter) 입방미터 혹은 세제곱미터 m3단위와 동일합니다. 10CBM = 10㎥ 과 같은 말이죠. 가로 1m x 세로 1m x 높이 1m = 1CBM 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근 호주로의 김제품 수출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동양계 마트에서나 볼 수 있었던 "김"제품이 인종과 관계없이 우리 한국의 김은 맛 좋고, 건강에 좋은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수출 문의도 제법 많이 오고 있구요. 오늘은 호주로 김 제품을 수출할 경우, 전 시간에 이어서 서류 및 통관절차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수출 전 제품의 라벨링 상세 표기사항 및 기타 준비사항에 대해서 아래 포스팅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호주로 김 제품 수출 시 프로세스(절차과정)(1) 호주로 김 제품 수출 시 프로세스(절차과정)(1) 안녕하세요. 오늘은 호주로 김 제품을 수출 할 때 제품에 대해 먼저 준비하는 내용에 대해 알아봅시다. 호주 라벨링 상세 표기사항 제품의 전후면 표기사항에..

오늘은 가장 간단하게 HS code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사실 HScode 관련해서 관세사님들께 여쭤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대략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일반인들도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1. 관세법령정보포털 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unipass.customs.go.kr 아래는 관세법령정보포털 화면입니다. 두 글자이상 검색어로 입력해야 조회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김" 이라고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표시가 나오죠. 또 아쉬운 점은 " 조미김 " , " 김밥김 "등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단어로도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는 영문으로 검색하시길 바랍니다. " Lav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