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중국
- 미국수출
- 품목별 인증수출자
- 수출서류
- 김 수출
- ctsh
- B/L
- 식품수출
- 수산물품질관리원
- 원산지소명서
- 원산지증명서
- 중국 해외생산기업
- 호주 김 수출
- 미국 수출
- 원산지결정기준
- 김 OEM
- hscode 확인
- FTA
- certificate of origin
- obl
- 품목제조보고서
- 김스낵 OEM
- 통관서류
- 식품안전나라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대만수출
- HSCode
- 한중FTA
- 식품 수출
- 중국수출
Archives
목록INSURANCE CHARGE (1)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위 내용은 수출 시 CIF 조건하에서 부산항에서 상해항까지의 선사운임 내역입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사진을 곁들여서 설명 해봤습니다. OCEAN FREIGHT (배삯, 해상운반비) 해상 운임비용을 말합니다. $달러로 책정됩니다. 실제적으로 바다 위에서 배의 운임비용입니다. T.H.C. ( Terminal Handling Charge ) (터미널 핸들링 비용) 수출하기 위해서 컨테이너를 부두에서 기계로 들어올려 배에 싣어야 합니다. 그것에 대한 핸들링 비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부두에 있는 컨테이너를 기계로 배에 싣는 과정에 대한 비용이죠. CONTAINER SEAL CHARGE (컨테이너 잠금장치 비용) 컨테이너 씰 비용입니다. 물건을 컨테이너에 싣고 나면 마지막에 잠금장치가 바로 ..
수출관련/수출용어 정리
2020. 9. 16. 1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