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hscode 확인
- 미국 수출
- B/L
- 원산지증명서
- FTA
- 품목별 인증수출자
- 원산지소명서
- 식품안전나라
- 김 OEM
- 수산물품질관리원
- 식품 수출
- certificate of origin
- 중국
- ctsh
- HSCode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한중FTA
- 김 수출
- 호주 김 수출
- 미국수출
- 수출서류
- 원산지결정기준
- 중국 해외생산기업
- 통관서류
- 김스낵 OEM
- 대만수출
- 식품수출
- 중국수출
- obl
- 품목제조보고서
Archives
목록탄소라벨링 (1)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미국은 2003년 기후 책임법안 이후 온실가스 감축을 정책적으로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에선 2008년 이후 탄소 라벨법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다. 탄소라벨은 'Climate Conscious'에서 운영하며 3등급으로 나눠 라벨을 부여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공공구매 시 탄소정보를 공개한 제품과 저탄소 제품을 우선 구매한다. 종합적 탄소 라벨법이 통과되면 한국의 대미 식품 수출 기업도 탄소 관련 수치에서 사위 등급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 관련 정책 동향을 앞으로도 주시할 필요가 있다. 탄소라벨 정책에서 사용되는 세가지 개념은 탄소발자국·탄소저감·저탄소다. 탄소발자국은 제품 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값을 의미한다. 미국에서는 현재 탄소 발자국만 채택해 운용하고 있다. 미국은 한..
제품 개발
2020. 7. 30. 1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