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원산지증명서
- 식품수출
- obl
- 호주 김 수출
- 수산물품질관리원
- 중국 해외생산기업
- 식품 수출
- 원산지소명서
- 대만수출
- 미국수출
- 한중FTA
- 김 OEM
- 품목별 인증수출자
- 김스낵 OEM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hscode 확인
- 중국
- FTA
- 통관서류
- 원산지결정기준
- HSCode
- 품목제조보고서
- certificate of origin
- 식품안전나라
- 수출서류
- 중국수출
- 미국 수출
- B/L
- ctsh
- 김 수출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2025년 1월 2일부터 러시아 정부는 비우호국으로 지정된 국가의 수입품목에 대해 특별관세 부과 품목을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조미김(H.S Code: 2008.99-5010)의 관세율이 기존 6% 에서 16%로 대폭 상승하게 되었습니다.러시아의 새로운 관세 정책, 주요 내용 이번 특별관세 정책은 유류, 채소, 과일, 커피뿐만 아니라 수산물 및 조미김과 같은 완제품까지 확대 적용되며, 러시아 정부에 따르면 2025년 말까지 유효할 예정입니다. 이는 비우호국으로 분류된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주요 비우호국에는 한국을 포함하여 EU, 영국, 미국, 일본, 호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조미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번 관세율 상승으로 인해 러시아 시장에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는 김 수출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수출 과정은 복잡하고 다양한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김 수출을 위해 꼭 알아야 할 필수 정보를 단계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1. 상품 준비 : 꼼꼼한 제품 정보 정리 · 제품 사양 김의 원재료, 중량, 크기, 포장 방식, 유통기한 등을 상세히 정리하세요. · HS Code 확인 조미김은 일반적으로 HS Code 2008.99에 해당하지만, 수입국의 분류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제품 인증 국제 무역에서 인정받는 HACCP, FSSC, ISO, FDA 인증은 신뢰도를 높여줍니다. 또한, 이슬람권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HALAL 인증도 필요합니다...

● Telex Release는 해상 운송에서 화물을 인도받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로, Surrender B/L(서렌더 선하증권)과 관련된 절차를 의미합니다. 이는 원본 선하증권(Original B/L, OBL)을 직접 제시하지 않고, 발송인의 요청에 따라 화물을 수하인에게 인도하도록 허가하는 방식입니다. Telex Release의 과정1. OBL 발행: 처음에 OBL(Original B/L)이 발행됩니다.2. Surrender 요청: 발송인이 화물의 소유권을 포기하기 위해 OBL 원본을 발행처(선사)나 대리점에 반환하고, 화물을 목적지에서 수하인에게 바로 인도하도록 요청합니다.3. Telex Release 확인: 선사는 발송인의 요청을 검토한 후, 목적지의 대리점(선사 사무소) 또는 수하인..

안녕하세요. 박과장입니다. 오늘은 중국에서 싱글윈도우(해외생산기업) 등록 업체 검색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https://ciferquery.singlewindow.cn/ 进口食品境外生产企业注册信息说明: 1.“产品类别”栏内容,指该企业产品所属类别,准许向中国境内出口的具体产品以注册系统内批准的产品信息为准 2.“注册有效期”栏内容,指该企业有效期截止时间 3.“状态”栏中,ciferquery.singlewindow.cn 위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먼저 해당 페이지는 전체적으로 두 파트로 나뉘어 있습니다. 클릭을 잘 못하면, 홍콩, 마카오, 대만 정보만 계속 나와서 왜 검색이 안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중국 해관에 등록된 한국업체를 검색하려면 "해외기업 정보" 란을 클릭했는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도네시아 "BPOM" 인증과 해당 제품이 제대로 인증을 취득했는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BPOM 인증 BPOM이란 'Badan Pengawas Obat dan Makanan'으로 인도네시아 식약청의 약자입니다. 파파고에서 번역을 돌려보면 "식품의약품안전청" 이라고 나오네요. 인도네시아에서 수입을 하기 전에 특수한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BPOM 인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유통 허가 인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BPOM인증은 인도네시아 국민들의 신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생물학·화학 공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법적 장치라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각 제품별 인증을 받아야 하며, 유효기간은 기본적으로 5년입니다. A사가 어떤 ..

제품을 제조해서 마지막에 싼 뒤, 컨테이너에 적재하여, 수출을 하곤 합니다. 이미 박스 규격이 정해진 것들은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항상 신규 제품을 만들고, 그에 맞는 박스 규격을 정할 때, 컨테이너에 최대한 들어가는 것을 고려합니다. 당사의 김스낵 제조 특성 상 여러가지 박스 규격을 요청하신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에 어떻게 들어갈지 이리저리 재봅니다. 바이어에게도 컨테이너에 얼마나 들어갈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그런데, 서로의 계산(?) 혹은 생각(?)이 달라 박스규격을 정하는 것도 만만치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본 사이트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사이트 주소 : https://dolstep.com/cbm 해당 사이트는 ..

기본적으로 HSCODE는 동일해야합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HSCODE 6자리까지 말이죠. 무슨 말이냐 하면, 예를 들어 우리가 생산하는 조미김의 HSCODE는 2008.99-5010입니다. 뒤의 5010을 제외(5010은 한국고유번호)하고 2008.99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번호입니다. 미국에서, 중국에서, 일본에서 등등... 그렇기 때문에 수출신고필증에서의 HSCODE란에 조미김은 2008.99-5010 이라고 작성합니다. 또한, 이를 근거로 발급하는 원산지증명서도 역시 2008.99 (국제통용 HSCODE 6자리까지)를 기입합니다. 우선 국내에서는 김스낵과 조미김이 같은 HSCODE를 공유하지만, 해외에서는 다르게 판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종종 수출신고필증과 원산지증명서 HSCOD..

당사는 김스낵 및 조미김을 제조하는 업체입니다. 특히, "라이스페이퍼"를 이용한 김스낵을 해외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위 사진의 모든 제품을 제조하고 있지만, 급하게 제조해야할 제품은 사진의 우측하단 "구운 라이스페이퍼 김스낵" 제품입니다. 최근 해외업체에서 "구운 라이스페이퍼 김스낵"을 요청하여, 항공운송으로 베트남에서 "라이스페이퍼"를 수입하였습니다. 문제는 "무작위표본검사"에 걸리게 되어 바로 통관을 못 시키게 된 점이었습니다. 최대한 빠른시간내에 제조하여, 수출해야 하기 때문이었죠. 기본적으로 수입통관 시 "무작위표본검사" 대상이 되면 일주일 정도 통관일정이 늦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친절하게도 식약처에서 전화가 왔습니다. 혹시 항공으로 급하게 원료를 수입하는 이유에 대해서 묻더군요. 당사에서는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