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certificate of origin
- 원산지소명서
- 김 수출
- 미국 수출
- 품목별 인증수출자
- 식품수출
- 식품안전나라
- FTA
- 한중FTA
- 품목제조보고서
- 김 OEM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ctsh
- obl
- 통관서류
- 대만수출
- B/L
- 수산물품질관리원
- HSCode
- 호주 김 수출
- 중국 해외생산기업
- 원산지증명서
- 중국
- 수출서류
- 식품 수출
- 미국수출
- hscode 확인
- 김스낵 OEM
- 중국수출
- 원산지결정기준
Archives
목록쉬핑마크 양식 (1)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 Shipping Mark " 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혹시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양식첨부 합니다. 쉬핑마크 (Shipping Mark)는 물건을 쉽게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FCL 으로 나갈 때도 여러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하기도 하죠. 당사에서는 LCL 방식으로 나갈 때, 붙이곤 하는데 특히, 한 컨테이너에 많은 제품들이 혼재될 경우 정확한 갯수를 파악하기 위해 각 박스에 번호를 부여하기도 합니다. 양식에 없지만 " 란 "을 추가해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각 쉬핑마크에 번호를 삽입한다면, 정확한 갯수 및 잃어버릴 가능성이 줄겠죠. 그런데, 요즘에는 번호 부여를 잘 하지는 않습니다. 귀찮기도 할테고, 없어도 큰 문제가 없기 때문 아닌가 싶습니다. 결론적으로 Shipp..
수출관련/수출용어 정리
2020. 2. 20. 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