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미국수출
- 식품 수출
- 중국
- 한중FTA
- 중국수출
- 김스낵 OEM
- 식품안전나라
- 대만수출
- 중국 해외생산기업
- 미국 수출
- certificate of origin
- 원산지결정기준
- FTA
- ctsh
- HSCode
- 수출서류
- hscode 확인
- 수산물품질관리원
- 원산지소명서
- obl
- 김 수출
- B/L
- 식품수출
- 품목제조보고서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원산지증명서
- 호주 김 수출
- 김 OEM
- 품목별 인증수출자
- 통관서류
목록수입식품 (2)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안녕하세요. 김스낵 박과장입니다. 오늘은 수입식품 수입 시 해외제조업소의 기 등록 여부 확인과 미등록 시 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해외제조업소 동의서 양식 첨부 1. 수입식품 제조업체 등록 여부 확인법 수입식품 제조업체의 정보가 한국기관(관세청 및 식약청)에 등록이 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링크 "수입식품정보마루" 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합니다. https://impfood.mfds.go.kr/ 수입식품정보마루 impfood.mfds.go.kr 사이트 상단의 안전정보 => 업체조회(제조/작업장/수출) 순으로 클릭합니다. 해외제조업소 클릭! => 국가와 업소명 중에서 검색한 가능한 영문스펠링을 입력해줍니다. 예를 들어 국가를 "전체"로 놓고 업소명란에 "A"라고만 치고 검색을 실행하면, 아래와..

안녕하세요. 김스낵 박과장입니다. 오늘은 수입식품 판매영업등록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조금은 수고스럽지만, 직접 수입식품 판매영업등록이 가능합니다. 차근차근 확인해 봅시다. 수입식품 등 수입판매업 영업등록이란? 수입식품 영업등록을 위해 영업에 필요한 교육 및 시설을 갖춘 후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게 영업 등록을 신청하는 민원 서비스입니다. 1. 통합민원 상담서비스 접속 www.foodsafetykorea.go.kr/main.do 식품안전나라 자주보는메뉴 www.foodsafetykorea.go.kr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합니다. 민원 신청을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통합민원상담 클릭! - 수입식품 등 영업등록 신청 클릭! - 수입판매업 클릭! 동의서 다운로드 - 동의서는 위 사진과 같이 작성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