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한중FTA
- 통관서류
- 호주 김 수출
- 원산지결정기준
- obl
- 식품 수출
- 품목제조보고서
- 김 수출
- 식품수출
- 식품안전나라
- 수출 품목제조보고서
- 원산지소명서
- FTA
- 김 OEM
- 품목별 인증수출자
- hscode 확인
- certificate of origin
- 대만수출
- 원산지증명서
- 미국 수출
- 수산물품질관리원
- 중국
- 중국수출
- 중국 해외생산기업
- B/L
- 김스낵 OEM
- ctsh
- 미국수출
- HSCode
- 수출서류
Marochip(마로칩) 의 김스낵 수출이야기
러시아, 비우호국대상 특별관세 부과-한국산 조미김 영향은? 본문
2025년 1월 2일부터 러시아 정부는 비우호국으로 지정된 국가의 수입품목에 대해 특별관세 부과 품목을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조미김(H.S Code: 2008.99-5010)의 관세율이 기존 6% 에서 16%로 대폭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러시아의 새로운 관세 정책, 주요 내용
이번 특별관세 정책은 유류, 채소, 과일, 커피뿐만 아니라 수산물 및 조미김과 같은 완제품까지 확대 적용되며, 러시아 정부에 따르면 2025년 말까지 유효할 예정입니다. 이는 비우호국으로 분류된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주요 비우호국에는 한국을 포함하여 EU, 영국, 미국, 일본, 호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조미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이번 관세율 상승으로 인해 러시아 시장에서 조미김의 경쟁력은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관세율이 6%에서 16%로 증가하면서 수입업체와 소비자들의 부담이 증가해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 기존 관세율 6%: 제품 가격이 10,000원일 경우, 관세 부담은 600원.
- 변경된 관세율 16%: 동일 제품의 관세 부담은 1,600원.
더욱이, 김원초 시장의 불안정성도 조미김 수출업체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안기고 있습니다. 최근 김원초 가격은 상승과 폭락을 반복하며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김원초를 높은 가격에 매입한 업체들은 제품 원가 상승과 수익성 악화를 동시에 겪으며 힘든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원초 가격이 단기간에 급등했을 때 이를 비싸게 구매한 업체들은 관세율 인상까지 더해져 제품 가격 경쟁력이 크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블록화 되어가는 시장에서 한국의 저희와 같은 제조업체들의 수출은 어디로 해야할까요?
갈수록 힘들어지는 세상이네요. ㅠㅠ
러시아 비우호국 특별관세 대상품목 첨부합니다. (출처 : KMI 해양수산개발원)
'수출관련 > 수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 수출을 위한 필수 정보 정리 (4) | 2024.12.13 |
---|---|
중국 싱글윈도우(해외생산기업)등록 업체 검색방법 (4) | 2024.11.25 |
인도네시아 BPOM인증 취득여부 검색하는 방법 (2) | 2023.06.15 |
이런 박스는 컨테이너에 얼마나 들어갈까? (CBM 3D Viewer) (9) | 2023.05.26 |
Original B/L(OBL)과 Surrender B/L 과 Seaway bill(SWB) 차이 (0) | 2023.02.20 |